본문 바로가기

교육/역사

음식으로 보는 한국사 - 식탁 위의 한국사



음식으로 보는 한국사 - 식탁 위의 한국사


음식은 우리가 매일 먹는 것 중의 하나로 살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입니다. 음식의 문화, 요리 등도 세월이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는데요. 최근 <식탁 위의 한국사>라는 책을 최근에 흥미롭게 읽게 되었습니다.

'식탁 위의 한국사'는 우리가 100년 동안 무엇을 먹어왔는지, 근대인부터 현대인의 식탁까지 메뉴를 통해서 살펴본 20세기 한국의 음식 문화를 소개한 책입니다.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지은 책으로 '음식을 역사로 만들고 역사를 정답으로 여기는 풍토의 위험성을 지적한 책'이지요. 한국음식의 원형이 무엇인지가 아닌, 한국 사람들은 무엇을 어떻게 먹어왔는지를 소개하며, 우리 사회의 역사를 살피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인스턴트 음식이나 우리가 최근 자주먹고 있는 패스트푸드 같은 음식들이 전혀 없었습니다. 불과 몇십년과 비교 하더라도 우리가 즐겨 먹는 음식들이 많이 바뀌었지요. 그렇기 때문에 100년 전의 음식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만으로도 이렇게 흥미로울 수가 없었습니다. 책에서는 설렁탕과 갈비, 신선로와 빈대떡, 짜장면 등 근대 외식업을 주도한 34가지 음식 메뉴의 기원과 변화를 미시적으로 다룸과 동시에 더 나아가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적 변동에 따른 음식 문화의 변화 등도 소개를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음식에 대해서만 소개한 책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에 따른 음식의 변화 그리고 문화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어서 한국사를 새롭게 읽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옛날부터 지금까지 먹고 있는 음식의 전통과 유래를 살펴보면서 몰랐던 것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고, 음식을 바라보는 관점도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우리가 흔히 먹고 있는 음식들 중에서 하찮게 여기는 것들도 많이 있을텐데, 옛날에는 이런 음식들은 무척 귀하고 고급스러운 요리인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경제가 풍요로워지고, 굶어죽는 사람이 거의 없으면서 우리는 음식의 소중함을 모르고 있는 것 같은데요. 우리가 먹는 음식의 소중함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음식이라는 것은 결국 문화의 단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을 가지고 가치판단을 내버리는 것은 옳지 못한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 이렇게 많은 종류의 음식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 한 번 놀라게 되었으며, 사회의 발달과 변화에 따라서 음식의 문화도 이렇게 많이 차이가 나는지를 다시 한 번 느끼게 된 것 같네요. 지금 우리가 즐겨먹고 있는 음식도 100년 뒤에는 많이 달라져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