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브릿지 연재

힙합의 정서는 무엇인가?


힙합의 정서는 무엇인가?

힙합은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친숙한 음악 장르의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힙합은 198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역동적인 춤과 음악, 흑인과 스페인계 빈민들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춤과 낙서 랩(rap) 등을 통틀어 힙합이라고 부릅니다.


현재에는 힙합의 문화가 우리에게 무척 친숙학게 자리잡았고, 힙합 음악을 하는 사람들 역시 대중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보이는 모습 뒤에 아직까지 힙합은 길거리에서 만들어진 저급 문화, 빈민의 문화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힙합 문화를 되돌아 볼 수 있는 인문학 강의 양효실 박사님의 <힙합의 정서는 무엇인가?> 라는 강의를 들었습니다. 힙합의 역사와 문화 정서에 대해서 소개해 주는 동시에 대중문화의 모습에서 발견된 모성애에 대해서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마인드브릿지 어플 소개<링크>


힙합이라는 음악을 생각하면 거친 음악, 저항적인 문화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듣고 있는 힙합에서는 그런 느낌을 많이 찾을 수 없는데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 대중문화와 만나면서 힙합이라는 문화 자체가 많이 부드러워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언더에서 활동하는 힙합 가수들을 보면 힙합이라는 음악 속에서 나오는 거친 단어와 느낌을 알 수 있지요. 그렇기 때문에 힙합이라는 음악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가 듣고 있는 가요의 힙합 음악이 아닌 언더에서 활동하는 힙합이나 미국의 힙합 문화를 찾아봐야 하지요. 대중들이 힙합을 좋아하고, 힙합이 대중문화와 만나면서 힙합이 가지고 있는 본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것이 아쉬운 점의 하나라고도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힙합은 일정한 리듬과 멜로디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즉흥적으로 지껄이는 이야기가 힙합이 될 수 있고, 아름답지 않고, 듣기 거북해도 힙합이 될 수 있습니다. 힙합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면 힙합이 아름답게 들린다는 자체가 모순일 수도 있겠지요.

힙합하면 빼놓을 수 없는 문화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그라피티(graffiti 그래피티)인데요. 그라피티는 긁다 긁어서 새기다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graffito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대의 동굴벽화, 이집트의 상형문자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현대적 의미의 그라피티는 1960년대 후반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미국의 흑인 젊은이들이 뉴욕 브롱크스를 중심으로 건물 벽이나 지하철 등에 스프레이 페인트로 구호와 그림을 그리면서 시작되었는데요. 힙합문화와 결합하면서 확대, 발전되었습니다. 힙합과 마찬가지로 흑인 특유의 즉흥성과 직접적인 대면 접촉을 중요시 하면서 점점 더 발전해왔습니다. 그래서 힙합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그라피티이며, 그라피티하면 힙합을 빼놓을 수 없지요. 두 문화 모두 자본주의적 문화에 대항하고 부정하며, 백인들과 다른 자신들만의 문화를 만들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의는 다양한 힙합 음악을 소개하면서 사회적 배경, 힙합이 전하는 메세지, 힙합이 가지는 정서 등을 소개하며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강의 후반부에는 GOD의 노래 어머님께, 김창완의 노래 어머니와 고등어 등의 노래를 소개하면서 이런 대중문화가 가지고 있는 모성애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우리나라 힙합 음악을 들으면 또 묘한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나쁜 관점에서 본다면 힙합의 본래 의미가 퇴색되고 변했다고 할 수 있지요. 힙합이 우리나라의 대중문화와 만나서 새로운 장르를 만들고 그것이 또 하나의 문화가 된다는 것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하여 힙합이라는 음악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며, 힙합이 생겨난 배경 때문에 가지고 있었던 편견을 많이 버릴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힙합이라는 장르를 좋아하는 저에게는 매우 유익한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